728x90
- 제10조(심의 결과의 조정) 청소년보호위원회는 청소년 보호와 관련하여 각 심의기관이 동일한 매체물을 심의한 결과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그 심의 결과의 조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요구를 받은 각 심의기관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.
- 청소년기본법 제 10조는 청소년정책위원회 관련법 : 제10조(청소년정책위원회) ① 청소년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 청소년정책위원회를 둔다.
-청소년기본법 제5조의2(청소년의 자치권 확대) : ④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 관련 정책의 수립과 시행과정에 청소년의 의견을 수렴하고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청소년으로 구성되는 청소년참여위원회를 운영하여야 한다. <신설 2017. 12. 12.>
-청소년기본법 제11조(지방청소년육성위원회의 설치) ① 청소년육성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시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(이하 “시ㆍ도지사”라 한다)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(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. 이하 같다)의 소속으로 지방청소년육성위원회를 둔다.
-청소년복지지원법 제10조(청소년복지심의위원회)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통합지원체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위기청소년의 복지 및 보호와 관련된 정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심의하는 청소년복지심의위원회(이하 “심의위원회”라 한다)를 둘 수 있다. <개정 2021. 3. 23.>
728x90
'청소년 관련법과 행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소년복지 지원법 (5) | 2024.11.14 |
---|---|
청소년 보호법 [시행 2024. 3. 26.] [법률 제20423호, 2024. 3. 26., 타법개정] (6) | 2024.11.12 |
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(2023~2027) 정책과제 (0) | 2024.11.11 |
국제 평화를 위한 청소년의 역량 강화와 청소년의 권리 증진 등에 초점을 둔 UN의 청소년 정책 방향 시대 순서. (0) | 2024.11.07 |
위기청소년 실태조사 3년마다./ 건강, 체력 기준을 5년 이내의 기간 마다 새로 설정한다. (1) | 2024.11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