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그리운 대천덕신부님 13

산골짜기에서온 편지 1권 요약. 9 보다깊은 축복의 의미

9. 보다 깊은 축복의 의미 문의 : 사람들이 축복에 대한 생각이 다른 것을 발견했습니다. 그리고 축복에 대한 신구약의 개념이 다른 것도 알아내었습니다. 왜 다른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. 이 주제는 예민한 문제라 개의 귀를 잡는 심정이라 조심히 거론해 보겠습니다. 창12:2절. 아브라함을 축복하시며 복의 근원으로 삼겠다고 약속하십니다. 사라에게 축복주시면 자손중에 많은 임금이 나올 것이라 하셨는데, 사라는 생전에 이삭 외에는 후손을 못 봤습니다. 여기서 하나의 단서는 하나님이 약속하시는 축복은 많은 경우 그 사람의 생존시에는 성취 되지 않았고, 후손이나 재림 예수님을 통해 성취 된다는 겁니다. 천사와 씨름한 야곱의 축복도 이름 바꾸어 준 것뿐. 그리고 민족을 이루는 것이죠. 출애굽기의 축복은 율법을 지켜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8. 십일조는 어떻게 쓰여져야 하는가?

8. 십일조는 어떻게 쓰여 져야 하는가? 문의 : 친구와 알아보니, 오늘 날 교회가 재정에서 구제비로 사용하는 것이 몇 퍼센트에 지나지 않습니다. 목회자 급여와 교회 운영비 외에는 다 구제비로 쓰여야 되지 않나요? 신부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. 먼저 십일조에 관한 신약시대의 관점을 살펴봅시다. 제자들은 예수님이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면 곧 '은혜의 해(희년, 구약에서 왕이 선포)'를 선포하실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그러나 예수님은 자발적인(voluntary) '은혜의 해'를 선포 하셨습니다. 무리는 강제적 희년을 선포할 실 줄 알았는데, 기대가 어긋나자 예수님을 모두 배신해 버렸습니다. 기독교의 은혜의 해는 자발적인 것이 원칙입니다.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에서도 자발적인 것을 강조합니다. 바울의 가난한 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7. 성경이 말하는 고난의 의미

7. 성경이 말하는 고난의 의미. 문의편지 : 하나님의 백성은 항상 성공하고 잘되기만 하는가? 저 같이 가난하고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좇지 않기 때문인가요? 형제의 고민은 잘 이해 할 것 같습니다. 지치거나 낙심할 때 예수님을 생각해 보십시오. 예수님도 하시고자 하는 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6. 초막절과 말세에 일어날 일들

6. 초막절과 말세에 일어날 일들 (이런 것에 내가 빠져 있는 것이 아니고, 책 순서대로 요약하는 것일 뿐, 또 대천덕 신분님의 의견에 대체로 동의하나, 잘 모르는 부분들은 보류의견.) 문의 편지 : 마지막 때 환난은 무엇이며, 크리스천은 환난을 통과해야 하는지요? 또 천국 전에 천년왕국(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5.추석(초막절)은 성경적인가?

5. 추석(초막절)은 성경적인가? 문의 편지 : 추석의 기독교적 의미는 무엇입니까? 출애굽은 7월 중순쯤 이었습니다. 하나님은 그 달을 첫 째 달로 지키라고 했습니다. 초막절 이라 불리기도 합니다. 한국과 이스라엘 역법은 한 달 하루가 차이나니, 우리 한국 달력으로 8월 중순입니다(음력).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4. 코이노니아는 성도들에게 꼭 필요한가?

4. 코이노니아는 성도들에게 꼭 필요한가? 문의 편지 : 코이노니아에 대해 분명한 의미를 파악하고 싶습니다. 신약 성경에 코이노니아(헬라어)를 교통, 사귐, 통용 등 구절마다 다른 단어로 번역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이 코이노니아란 단어는 헬라(그리스) 문학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3. 성경은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가?

3. 성경은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가? 문의 편지 : 신학생입니다. 성경 해석과 적용, 오류 있어 보이는 곳들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. 저는 단지 성경을 읽거나 공부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기독인이 된다고 생각지 않습니다. 예수님 당시의 바래새인들과 서기관들도 ..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1권 요약. 1. 예수원은 어떤 곳 입니까?

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요약 1. 예수원은 어떤 곳 입니까? [기도로 문제 해결 받은 사람들 기도의 능력을 체험한 사람들이 세상을 위해 기도로 헌신하기 위해 모이는 곳] 로 정의 할 수 있다. 한마디로 누가 "당신의 기도가 분명한 응답받은 적 있습니까?" 라는 물음에 나는 "예"라고 할 수 있..

마태복음 보면 가난하고, 눈물 흘리는 삶이 복이라는 말씀 깊이 새겨야 합니다 - 대신부님 부활 설교 중.

"항상 경쟁하고, 누구랑 비교 하고, 저 사람의 삶을 부러워 하고, 열등감 느끼는 삶이 아닙니다. 하나님의 뜻 대로만 살기로 결정해서, 하나님과 참된 올바른 관계 되는 것. 하나님과 교재의 기쁨을 누리는 삶이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목적대로 사는 것입니다. 이 세상의 기쁨을 추..

728x90